존 케이지가 던진 충격적인 질문 음악이란 무엇일까요?
피아노 건반을 누르는 손끝, 기타 줄을 튕기는 소리,
바이올린 활이 만들어내는 섬세한 떨림… 우리는 보통 ‘소리’가 있어야 음악이라고 생각하죠.
그런데 이 상식을 깨뜨린 사람이 있습니다. “소리가 없어도 음악일 수 있다”고 말한,
존 케이지(John Cage) 라는 작곡가입니다.
그가 만든 전설적인 작품이 하나 있어요. 바로 《4분 33초(4'33")》.
이 곡을 처음 들으면, 의심부터 듭니다. “이게… 진짜 음악이야?” 🎹 아무 소리도 없는 ‘연주’
1952년, 미국 뉴욕의 한 콘서트홀.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튜더가 무대에 올라옵니다. 관객은 숨을 죽이며 그의 연주를 기다리죠. 그는 피아노 앞에 앉아 악보를 펼칩니다. 손을 건반 위에 올리고… 가만히 있습니다. 단 한 음도 치지 않아요.
첫 악장이 끝나고, 그는 조용히 악보를 넘깁니다. 그리고 다시 침묵.
세 악장을 마치는 동안, 관객은 단 한 음도 듣지 못합니다.
공연이 끝났을 때 관객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게 대체 뭐지?” 하지만 존 케이지는 분명하게 말했습니다.
“이 곡은 진짜 음악이다.”
사실, 《4분 33초》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퍼포먼스’가 아니에요.
존 케이지는 하버드대학교의 ‘무향실(無響室)’에 들어갔던 경험을 떠올립니다. 소리를 완전히 차단한 그 공간에서 그는 놀랍게도 두 가지 소리를 들었습니다.
하나는 고주파의 신경계 활동 소리,
다른 하나는 저주파의 혈류 소리였습니다.
그때 그는 깨닫습니다.
“완전한 침묵은 존재하지 않는다. 살아있는 한, 우리는 항상 무언가를 듣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음악이라 생각했던 건 실제로 ‘조율된 소리’일 뿐이고, 우리가 듣고자 할 때, 모든 소리가 음악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4분 33초》의 핵심은 바로 **‘듣는 행위’**입니다.
연주자가 아무 소리도 내지 않는 그 시간 동안, 청중은 주변의 모든 소리에 민감해집니다.
누군가 기침하는 소리, 의자가 삐걱거리는 소리, 문 너머로 들리는 빗소리… 그리고 자신의 숨소리, 심장 뛰는 소리까지.
그 순간, 우리는 단지 ‘듣는 사람’이 아니라, 음악을 만들어가는 사람이 됩니다.
이전까지의 음악은 작곡가가 만들고, 연주자가 표현하고, 청중은 수동적으로 감상하는 구조였죠.
하지만 케이지는 청중에게 말합니다:
“당신이 지금 듣고 있는 그것이 바로 음악입니다.”
존 케이지는 기존 음악 이론을 해체합니다.
멜로디, 리듬, 화성처럼 정해진 틀보다, 순수한 ‘소리의 존재’를 더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는 ‘소리를 조작’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세상의 소리를 그대로 받아들이자고 했죠.
그래서 ‘침묵’조차 음악이 될 수 있는 거예요.
왜냐하면 우리가 듣고 있고, 그 소리를 감각하고 있기 때문이죠.
결국 그는 묻습니다.
음악은 반드시 소리를 내야만 하나요?
작곡가의 의도 없는 소리는 음악이 아닌가요?
우리가 듣고 감동받았다면, 그건 음악이 아닐까요?
지금 우리 주변에도 있는 ‘케이지의 음악’ 재미있게도,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케이지의 생각과 꽤 닮아 있어요.
도시의 소음을 녹음한 앰비언트 음악, 바람소리나 물소리를 활용한
명상 음악, 속삭임, 숨소리만으로 구성된 ASMR, 필드 레코딩(현장 소리 녹음)을 활용한 사운드 아트… 이 모든 것들은 ‘음악’ 같지 않지만, 사람들에게 감정과 분위기를 전달합니다.
우리는 더 이상 음악을 ‘멜로디’나 ‘가사’로만 판단하지 않아요.
오히려 어떤 소리든, 그 안에서 의미를 찾고 감정을 느끼는 시대가 되었죠.
아이러니하게도, 《4분 33초》는 아무 소리도 없지만 가장 많은 소리를 들려주는 곡이에요.
왜냐하면, 그 시간 동안 우리는 가장 깊이 ‘듣는’ 상태에 들어가니까요.
음악을 듣는다는 건, 결국 ‘소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고 그건 우리가 일상에서 너무나도 잊고 지냈던 감각입니다.
조용한 방 안, 혼자 있는 시간에 문득 귀 기울여 보세요.
바람 소리, 냉장고의 윙- 하는 소리, 자동차 지나가는 소리, 그리고… 나 자신.
그 모든 것이, 지금 이 순간의 음악입니다.
존 케이지의 《4분 33초》는 단순히 실험적인 작품이 아니에요.
그건 우리에게 **‘듣는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깨닫게 해주는 질문이자, 초대입니다.
음악은 멜로디도, 리듬도, 악기도 아닐 수 있어요.
그 순간, 우리가 마음을 열고 귀를 기울인다면 그건 이미 음악입니다.
침묵 속에서 울리는 소리, 그 안에 담긴 감정,
그리고 거기서 시작되는 새로운 감각의 여행.
그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든 단 하나의 질문: “침묵도 음악일까?”
오늘 하루, 잠깐이라도 아무 음악도 틀지 말고 조용히 앉아보세요.
우리가 평소엔 놓치고 있던, 아주 작고 느린 음악이 들릴지도 몰라요.
음악 취향으로 알아보는 나의 숨겨진 성격: 재미있는 음악 심리 테스트 (1) | 2025.04.02 |
---|---|
음악으로 꿀잠 자는법: 수면 음악의 효과와 최적의 선택방법 (0) | 2025.04.01 |
카페 음악의 심리학: 분위기와 집중력을 높이는 음악의 비밀 (2) | 2025.03.31 |
우연과 열정이 만든 명작: 록 앨범 제작의 비밀 (2) | 2025.03.30 |
록 음악의 역사 : 60년의 반항과 혁심을 담다 (1) | 2025.03.29 |